no image
Github Stats의 Maximum retries exceeded 오류 해결하기
어떤 오류?Github Stats를 쓰다보면 위와 같은 메시지가 나오면서 원하는 카드(배지)가 나오지 않는 경우가 있다. 물론 시간이 지나면 다시 정상적으로 표시되긴 하지만, 가능하면 문제를 해결하고 싶었다. 느낌에 나만 겪을 문제는 아닌 거 같아서 isseus 탭에 들어가보니 이미 해결 방법과 문제 원인까지 다 나와 있었다 ㅎㅎ 우선 문제의 원인은 오류 메시지(maximum retries exceeded)에도 나와 있듯, 배포자에게 너무 많은 request가 있어서 병목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감당할 수 있는 request 수를 지속적으로 늘리고 있다곤 하는데, 언젠가 또 이런 문제가 발생할 수 밖에 없는 구조다. Deploy on your own vercel instance 결국 문..
2023.01.16
no image
[Seaborn] scatterplot에 regression line 추가하기
regplot과 scatterplot 함께 활용하기 regplot의 점이 노출되지 않게 하려면 scatter = False로 설정해야 한다. fig, axs = plt.subplots(2, 1, figsize = (15, 10)) sns.regplot(data = test_final, x = "test_loss", y = "val_loss", scatter = False, ax = axs[0]) sns.scatterplot(data = test_final, x = "test_loss", y = "val_loss", hue = "test_pearsonr", ax = axs[0]) sns.regplot(data = test_final, x = "test_loss", y = "val_loss", scatter..
2023.01.14
no image
2중 공유기 WOL/DDNS 설정
WOL이란? WOL(Wake On Lan)은 문자 그대로 Lan(인터넷)을 통해 PC를 부팅시킬 수 있는 기능이다. 원격 접속할 PC를 부팅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PC의 메인보드와 공유기 모두가 WOL을 지원해야지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인데, 다행히 대부분의 제품에서 지원하고 있다. WOL은 Magic Packet(매직 패킷)이라는 프레임을 통해 원하는 PC를 부팅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선 부팅하고 싶은 PC의 고유 주소를 프레임의 목적지로 제공해야 한다. 이때 활용되는 고유 주소가 바로 MAC이며 랜카드(NIC)에 귀속되는 고유한 값이다. 매직 패킷은 공유기 내 모든 통신 장비에 전달되고 이를 랜카드가 확인하면 PC를 부팅한다. 매직 패킷은 위 그림과 같이 FF FF FF FF FF FF에다 추가로..
2022.04.06